Disk

: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파티션(볼륨)을 나누어 사용하는 저장장치.

자기를 가진 둥근 원반을 회전시켜서 자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HDD와 같은 드라이브를 의미하나

반도체를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, SSD / 주 기억장치의 공간을 활용하는 RAM 드라이브 

모두를 디스크로 분류하여 관리한다.


* 포함되는 것 - HDD(hard disk drive), Flash memory drive, RAM 

* 종류 - 고정 디스크(HDD, SSD, ram에 생성된 RAM 디스크)

  이동식 디스크(usb), 

  가상 디스크 : 다른 저장 매체에 존재하며 언제든지 시스템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. (이미지파일?)

cf) Disc : 레이저를 이용해 데이터를 기록하는 광디스크로, CD, DVD, 블루레이 등이 있다.





Volume 

: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된 디스크상의 저장영역.

볼륨에는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된다.

윈도우 7에서는 디스크 관리에서 더이상 파티션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

기본 디스크의 파티션과 동적 디스크의 볼륨 --> 모두 볼륨으로 취급!


* 파티션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긴 하지만 엄밀하게는 같은게 아니다.

동적 디스크에서는 볼륨은 여러개의 디스크로 스팬될 수도 있다.

기본 디스크에서 저장영역 = partition / partition 후에 포맷가능. 

따라서, 기본 디스크에서는 하나의 파티션이 하나의 볼륨이 된다.

여러 디스크에 걸쳐 있을 수도 있고하나의 디스크가 여러 개의 볼륨을 가질 수도.

Cf) 파티션 – 단일 물리디스크 // 볼륨 – 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티션





Partition

: 1) 디스크의 공간을 논리적으로 분할(할당, 파티셔닝) 해 놓은 공간으로 나누어진 영역이며, 독립적으로 동작한다.

: 2) 별도의 디스크처럼 작동하는 하드디스크의 일부


* 목적 – 하나의 디스크를 서로 분리된 여러 개의 디스크처럼 쓰는 것. 

  바이러스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등 활용가능.

  운영체제별로 나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티셔닝이 가능하다.

* 주요 파티셔닝 방식 - MBR, GPT / cf) window와 dos는 FAT 파티션을 이용?

* 종류 - 1) 주 파티션 : 기본디스크에서 만들 수 있다. 갯수 제한이 있다.

  2) 확장 파티션 : 기본디스크에서 만들 수 있다. 개수 제한이 없고 주파티션과 동일.

  3) 논리 드라이브 : 기본디스크의 확장 파티션에서 만들 수 있다.  개수 제한이 없고, 주파이션과 다르게 부팅불가

* 할당되지 않은 공간 = 파티션이 생성되지 않은 공간 = 포맷 불가능, 데이터 기록 불가능

  파티션이 없다 = 디스크의 전체 공간이 할당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되어있다.

  '디스크의 전체 공간을 단일 파티션으로 생성하여 사용하고 있다.' --> O






File System

:  저장 장치에 파일을 어떻게 쓰고, 관리하고, 찾고, 읽을 것인지에 대한 규칙, 체계.

이러한 체계가 있어야만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. 


* 목적 -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사용하기 위해

* 주요 파일 시스템 - FAT16, FAT32, exFAT, NTFS

Format - 저장장치에 이러한 파일 시스템을 구죽하는 것.




Data Unit

: 특정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의 최소 독립 유닛







 요약 하자면,


 디스크 = 시스템에 장착된 저장매체

 파티션 = 별도의 디스크처럼 작동하는 하드디스크의 일부

 볼륨 =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된 디스크 상의 저장영역 - usb를 인식시키면 볼륨이 인식된다.

 파일 시스템 = 저장매체에 어떻게 파일을 쓰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체계


 " 디스크를 파티셔닝해서 파일시스템을 포맷하면 볼륨이 된다. " 








참고 블로그))

http://cappleblog.co.kr/135   : 파일시스템

http://cappleblog.co.kr/130   : 디스크, 파티션, 볼륨

+ Recent posts